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6. 6世 〉27. <부정공>절민공휘숭문묘갈명(節愍公諱崇文墓碣銘)
1. 문헌 목록 〉6. 6世 〉29. <부정공>전라도신안명규등(全羅道臣安命奎等)
1. 문헌 목록 > 6. 6世 >  
28.<부정공>절민공죽촌조선생충절비문(節愍公竹村趙先生忠節碑文)
절민공죽촌조선생충절비문(節愍公竹村趙先生忠節碑文) 嗚呼此 莊陵節臣嘉善大夫咸吉道兵馬節度使 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諡節愍竹村先生趙公 諱崇文字武伯之貞忠大節鐫石竪之昭揭萬目後孫洪燮太善遠來 徵余文按其狀公玉川人以高麗門下侍中璋爲鼻祖厥後圭組連綿曾祖諱佺文科追封玉川府院君 祖諱元吉號農隱門下侍中策勳玉川府院君諡忠獻享淳昌武夷院考諱瑜中顯大夫典農寺副正入我 朝除漢城判尹固辭不就麗末通喪之制不行士大夫喪其親者皆百日就吉惟公前後居喪服衰 三年廬墓終制 世宗朝以忠孝蒙褒旌閭享謙川祠妣中郡夫人潭陽鞠氏擧二男公居其次也生而 英俊早習弓馬智路贍富世宗朝登武科至兵使與成忠肅公勝兪忠穆公應孚爲伍受北方鎭鑰之任 捍禦野人有功褒秩至嘉善階乙亥聞 端廟遜位謂其子哲山曰事己至此只有一死而己父子相對 涕泣乃與妻兄成忠肅父子謀復舊主事泄六臣既殉公父子被逮鄭昌孫金礩等與公有舊諷以可生 之道公張目大叱曰吾平生視食人食而忘其恩者曾犬豕不若歸見謹甫於地下足矣顧謂子曰爾亦 歸見爾父於地下無怍顔也父子同時駢命即丙子六月七日也見證於追付記則 光廟戊寅父子幷招魂而配侑于招魂閣 高宗甲辰賜額以肅慕殿昭載 魯陵誌及東鶴誌海東忠義錄輿地誌等 正廟己亥八月命旌父子閭幷享謙川祠辛亥配食 莊陵別壇己未九月特蒙 恩典 贈兵曹判書公之子哲山 贈朝奉大夫童蒙敎官傳曰貞忠大節與成勝父子一般 憲宗癸卯賜諡節愍生年事 行不可攷然性潭宋文敬公甞撰兩世忠節記有曰 端廟朝最稱六臣而六臣之外先後死事者不翅 數百人有若趙氏兩代罹禍徽蹟殆無愧於朴醉琴之兩世貞忠成梅竹之二代卓節蘆沙奇文簡公撰 四世忠孝錄有曰農隱副正協志於圃冶竹村龜川同死於六臣天之降性偏厚於趙氏耶父子忠魂此 皆極盡足以慰公於地下也歟配 贈貞夫人昌寧成氏襄惠公逹生女生子哲山幼有氣節克融先美 孫男瓊幼遭丙子禍穉年免死坐謫幸州及長因朝臣筵奏蒙宥還鄉杜門謝世以終其世嗚呼當日事 所不忍言而亦所不敢言也吾何以言之載大抵人臣事君之道不以存亡而貳其心不以死生而改其 節者乃天賦之彝性也古今之常經也所以爲莊陵立節諸公只知有其君而不知有其身至死不變以 盡其道曷不韙哉 光廟謂六臣若曰後世之忠臣大哉 王言樹風聲於萬古則同殉六臣者先後雖 殊義跡同矣然則公之卓節固可以撑宇宙昭日月永有辭於天下矣遂凛然起敬不以不文辭也尸此 役者後孫寬燮永輪永燮圭泰允祚良勳云乃贊曰有山峩峩有水泱泱先生忠節山高水長 時丙午肇夏 恩津 宋在晟 謹撰並書 절민공죽촌조선생충절비문(節愍公竹村趙先生忠節碑文) 아! 이는 장릉절신(莊陵節臣) 가선대부 함길도 병마절도사 증자헌대부 병조판서겸 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도총관(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都摠管) 시호 절민 죽촌선생, 조공 휘 숭문(崇文), 자 무백(武伯)의 곧은 충성과 큰 절의를 돌에 새겨 세워놓고 일만 사람의 눈을 밝히려 합니다. 후손 홍섭(洪燮)과 태선(太善)이 멀리 나를 찾아와 글을 청한다. 그래서 그 행장을 살펴보니 공은 옥천인으로 고려 문하시중(門下侍中) 장(璋)을 시조로 그 뒤에 명공거경(名公巨卿)이 연면하여 증조 휘 전(佺)은 문과로 옥천부원군에 추봉(追封)되었고 조 휘원길(元吉)은 호가 농은(農隱)인데 문하시중으로 옥천부원군에 훈봉(勳封)되어 시호는 충헌이며 무이서원(武夷書院)에 배향되었고 고의 휘는 유(瑜)인데 중현대부 전농시부정(中顯大夫典農寺副正)으로 조선에서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제수하여도 굳이 사절하고 나아가지 않았으며 고려 말에 통상(通喪)의 예제가 행하지 않아 사대부가 그 어버이를 잃어도 백일 만에 탈복하는데 오직 공만이 전후 상사에 三년을 거상(居喪)하며 시묘하여 예제를 마치니 세종(世宗)때 충효로서 이문을 표하여 포양하고 겸천사에 향사하였다. 비는 중군부인(中郡夫人) 담양국씨(潭陽鞠氏)로 二남을 두었는데 공은 차남이다. 낳아서부터 기질이 영민하고 준수하여 일찍이 활쏘기와 말타기를 학습하여 지혜와 도략 이 웅위(雄偉)하더니 세종 때에 무과에 올라 병사가 되어 충숙공(忠肅公) 성승(成勝) 과 충목공(忠穆公) 유응부(兪應孚)와 더불어 대오(隊伍)가 되어 북방 진어의 임무를 맡고 야인(野人)을 막은 공이 있어 포질(褒秩)로 가선에 올랐다. 을해년에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였다는 말을 듣고 그의 아들 철산(哲山)에게 일러 가로되 「일이 이미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다만 한번 죽음이 있을 따름이다.」 하고 부자가 서로 대하며 흐느끼더니 이에 처형 층숙공 성승 부자와 더불어 옛 주인 복위를 모의하다가 일이 발각되어 육신이 이미 죽고 부자가 체포되매 정창손(鄭昌孫), 김질(金礩)의 무리가 공과 더불어 구면이 있는지라 살 도리로써 빗대어 말하니 공이 눈을 부릅뜨고 크게 꾸짖기를 「내 영생에 사람의 밥을 먹고 그 은혜를 잊은 자를 일찍이 개나 돼지만도 못하게 보아왔다. 내 이렇게라도 죽어가 성삼문을 지하에서 보면 다행이다.」 하고 아들을 돌아보며 일러 말하기를 「너 또한 애비를 지하에서 보면 부끄러운 빛이 없게 하라」 하였다. 부자가 같은 때에 목숨을 마치니 곧 병자년(一四五六) 六월 七일이었다. 추부기(追付記)를 증거하여 본 즉 세조(世祖) 무인년(一四五八)에 부자의 혼을 불러 초혼각(招魂閣)에 배식하고 고종(高宗) 갑진년(一九○四)에 숙모전(肅慕殿)이라 액호 를 하사한 것이 「노릉지(魯陵誌)」 및 「동학지(東鶴誌)」, 「해동충의록(海東忠義錄)」, 「여지지(輿地誌)」 등에 소상(昭詳)히 실렸고, 정조(正祖) 기해년( 一七七九) 八월에 명령을 내려 부자를 이문에 정표(旌表)하고 아울러 겸천사에 배향하였으며 신해년에 장릉별단 (莊陵別壇)에 배식하고 기미년 九월에 특별한 은전(恩典)으로 병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공의 아들 철산은 조봉대부 동몽교관(朝奉大夫 童蒙敎官)을 증직하였다. 전교(傳敎)에 가로대 「정충대절(貞忠大節)은 성승(成勝)부자와 더불어 같다.」 하였고, 헌종(憲宗) 계묘년(一八四三)에 절민의 시호를 하사하였다. 생년사행(生年事行)을 상고(詳考)할 수는 없으나 문경공(文敬公) 송성담(宋性潭)이 일찍이 「양세충절기」를 지으면서 「단종(端宗)때에 가장 육신을 일컫고 육신 외에 선후하여 그 일에 죽은 자가 수백 사람뿐만이 아니지만 조씨 양대의 참화에 걸린 아름다운 사적을 자못 취금헌(醉琴軒) 박팽년의 양세정충(兩世貞忠)과 매죽헌(梅竹軒) 성삼문의 二대탁절(二代卓節)에 부끄러움이 없다」고 하였고, 문간공(文簡公)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이 「四세충효록」을 지으면서 농은(農隱), 부정(副正)이 포은(圃隱), 야은(冶隱)과 뜻을 같이 하고 죽촌(竹村), 귀천(龜川)이 육신과 함께 죽었으니 하늘이 성품을 내리면서 특별히 조씨에게 두텁게 하였는가」 하였으니, 이로써 부자 충혼을 다 극진히 찬양하였으니 지하에 있는 공에게 위로가 될는지. 비는 증정부인(贈貞夫人) 창녕성씨(昌寧成氏)인데, 양혜공(襄惠公) 성달생(成達生)의 따님으로 아들 철산(哲山)을 낳았다. 철산은 어려서부터 기절이 있어서, 선덕(先德)을 이었고, 손자 경(瓊)은 어려서 병자년 화를 만났으나 나이가 어림으로써 죽음을 면하고 행주(幸州)로 귀양 갔다가 장성하매 조신(朝臣)의 연주(筵奏)에 따라 특사를 받고 고향에 돌아와서 문을 닫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지내다 세상을 떠났다. 아! 당일 일은 차마 말할 수 없고, 또한 감히 말을 못하겠으니 내 어찌 말 하겠는가, 대저 신하로서 인군을 섬기는 도리가 흥하고 망함으로써 그 마음을 변하지 못하고 죽고 삶으로써 그 절개를 고치지 아니한 것은 하늘이 주신 떳떳한 성정이요, 고금의 바른 벼리이다. 이른바 단종 때 절의를 세운 제공은 다만 그 인군이 있음을 알고 그 몸이 있음을 돌아보지 않아 죽음에 이르도록 변하지 않고 그 도리를 다하였으니 어찌 아름답다고 하지 않겠는가. 세조(世祖)가 육신을 가르켜 ‘후세의 충신이다’ 하였으니 장하도다. 왕의 말씀이여! 풍성(風聲)을 만고에 세웠으니 육신과 함께 죽은 자, 선후는 다르나 의로운 자취는 한 가지이다. 그런즉 공의 높은 절의는 우주(字宙)를 버티고 일월같이 밝아 길이 천하에 남을 것이다. 마침내 공은 늠연(凜然)히 일어나 공경하며 문자가 졸함으로써 사양하지 못하였다. 이 일을 주관한 자는 후손 관섭(寬燮), 영륜(永輪), 영섭(永燮), 규태(圭泰), 윤조(允祚), 양훈(良勳)이다. 이에 다음과 같이 찬(贊)한다. 산이 있어 높고 높으며 물이 있어 깊고 넓으니 선생의 충절은 산같이 높고 물같이 깊도다. 은진 송재성 삼가 짓고 씀
 
1. 문헌 목록 〉6. 6世 〉27. <부정공>절민공휘숭문묘갈명(節愍公諱崇文墓碣銘)
1. 문헌 목록 〉6. 6世 〉29. <부정공>전라도신안명규등(全羅道臣安命奎等)